[역사속의 오늘-6월 25일] 70주년 맞은 ‘한국전쟁’...조국의 아픈 비극
상태바
[역사속의 오늘-6월 25일] 70주년 맞은 ‘한국전쟁’...조국의 아픈 비극
  • 여운균 기자
  • 승인 2020.06.25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인천신문 여운균 기자] 오늘은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습적인 침공으로 발발한 한국 전쟁(Korean War)이 70주년을 맞는 날이다.

유엔군과 중국 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해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점화될 위기에 있었으나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됐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반공 양 진영으로 대립된 세계의 냉전적 갈등이 폭발한 대표적 전쟁이다. 

▲ 전쟁의 배경

한국 전쟁 당시 사진
한국 전쟁 당시 사진

전쟁이 발발하기 5년전인 1945년 8월15일 일본으로부터 해방을 맞은 한반도는 타의에 의해 남과 북으로 분단됐고 결국  한국과 북한이라는 2개의 국가가 탄생했다.

북한은 소련과 중국을 설득해 한반도를 적화통일하려는 계획을 진행했다.

소련은 한반도 38선 이북에 진주한 이래 아시아 공산화를 목적으로 북한에 공산 정권을 세우고 한반도의 통일을 방해하면서 침략의 기회를 엿보아 왔다.

중국 공산당은 1949년 10월 1일 중국 국민당을 대륙에서 몰아내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했다.

미국은 한반도에서 1946년9월 주한미군 철수를 완료하고 1950년1월 애치슨 선언을 통해 한국을 극동방위선에서 제외시켰다.

▲ 전쟁 발발

러시아어로 된 남침작전 계획서
러시아어로 된 남침작전 계획서

전쟁 이전 미리 중국의 마오쩌둥과 소련의 스탈린의 협조와 지지를 얻은 김일성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공격을 개시했다.

북한의 대공세에 유엔은 미국을 주축으로 바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를 의결, 한국을 원조하기로 결정하고 파병했다.

같은 해 7월 7일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를 총사령관으로 하는 유엔군이 조직됐고 유엔은 일본 도쿄에 본부를 세웠다.

당시 인민군은 무방비 상태였던 중부지방과 호남지방을 삽시간에 휩쓸었고 연합군은 낙동강 방어선에서 배수진을 쳤다.

인천에 상륙하는 유엔군
인천에 상륙하는 유엔군

연합군은 같은 해 9월 15일 인천 상륙 작전을 시작으로 대대적인 반격을 개시, 10월 10일 평양에 이어 압록강 부근까지 진격했으나 11월 중순 중국인민해방군이 개입되면서 전세가 다시 뒤집히게 된다.

이로 인해 혜산진까지 탈환했던 한국군은 1951년 1월4일 서울을 다시 빼앗겼다가 3월 15일에 재탈환했다.

이후 3년간 지속된 전투로 수많은 군인 및 민간인이 사상했고 대부분의 산업 시설들이 파괴되는 등 양측 모두가 큰 피해를 입었다.

이념적인 이유로 민간인들의 학살이 자행됐고 지주들의 처벌과 그 보복이 반복되어 남·북한 간의 적대적인 골이 깊어지는 결과를 낳게 됐다.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으로 인하여 설정된 한반도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휴전을 해 현재까지 서류상으로 휴전 상태로 협정 체결 이후에도 남북 간에 크고 작은 군사적 분쟁이 계속하여 발생하고 있다.

▲ 전쟁의 상흔 

보도연맹 사건
보도연맹 사건

미국의 통계에 따르면 60만명이 전쟁 중에 사망했고 전체 참전국의 사망자를 모두 합하면 200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한국의 사망자는 백여만명이 넘으며 그중 85%는 민간인이다.

한국 전쟁으로 인해 한반도 전체가 폐허가 되었고 일본이 만들어 놓은 북한 지역의 대규모 공업지역은 융단폭격을 당해 완전히 소실됐다.

한강의 다리는 모조리 끊어졌고 수많은 전쟁고아가 양산되고 고려 궁궐 만월대는 미군의 야전병원을 만들기 위해서 불도저로 파괴됐다.

한국 전쟁을 인해 1000만명 이상의 이산가족이 발생했다.

한편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전쟁기념관을 비롯해 전국 16곳에 참전기념비, 참전기념관, 공원을 조성해 각국 군의 참전과 순국을 기리고 있다.

북한에서는 전쟁 이후 김일성이 한국 전쟁의 책임을 박헌영, 김무정 등 자신의 정적들에게 전부 뒤집어씌우고 숙청했다. 자신의 정적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김일성 공산왕조체제'의 기반을 닦았다.

*출처: 위키백과 / 온라인 커뮤니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