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의 오늘-4월3일] 제주 4·3 사건
상태바
[역사속의 오늘-4월3일] 제주 4·3 사건
  • 김상옥 기자
  • 승인 2020.04.03 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43평화공원 다랑쉬굴 학살 현장 재현
제주43평화공원 다랑쉬굴 학살 현장 재현

[미디어인천신문 김상옥 기자] 1948년 4월 3일은 제주도에서 3·1 사건 직후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 봉기로 인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 시작된 날이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경찰 출신들이 미군정 경찰로 변신하고 이들의 모리행위가 민심을 자극하면서 분란의 원인이 됐다.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이 계기가 되어 일어난 4·3 사건은 1954년 9월 21일까지 지속되며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 희생을 낳았다.

이 사건은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규정돼 있다.

4·3 사건 70주년을 맞이한 2018년 4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회와 인권센터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제주 4·3 역사 정의와 화해를 위한 기도회’를 열고 학살에 동참한 과거를 사죄했다.

해방 직후의 혼란스러운 정정

제주 4·3 사건 당시의 제주도는 해방으로 부풀었던 기대감이 점차 무너지고, 미군정의 무능함에 대한 불만이 서서히 확산되는 분위기였다.

약 6만 명에 이르는 귀환인구의 실직난, 생필품 부족, 전염병(콜레라)의 만연, 대흉년과 미곡정책의 실패 등 여러 악재가 겹쳤다.

사건의 배경에는 남한 단독 정부수립을 반대하는 남조선로동당계열의 좌익 세력들의 활동과 군정경찰,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우익 반공단체의 처결에 대한 제주도민들의 반감 등이 복합돼 있었다.

제주도는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후 도민들의 적극적인 지지 속에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가 활발히 활동했으며, 특히 인민위원회는 타 지역과 달리 미군정청에 협조적이었다.

그러나 1947년 제주 북초등학교 3.1절 기념식에서 기마경관의 말발굽에 어린아이가 치이는 일이 벌어지면서 상황은 반전된다.

이를 본 시위군중들은 기마경관에게 돌을 던지고 야유를 보냈는데, 경찰이 이를 경찰서 습격으로 오인하고 시위대에게 발포해 6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상을 입었다.

봉기의 시작

미군정 당국은 발포사건에 대해 잘못을 시인하면서도 정당방위로 주장하고 사건을 '시위대에 의한 경찰서 습격사건'으로 규정지었다.

경무부에서도 3만여 명의 시위군중이 경찰서를 포위 습격하려고 했기에 불가피하게 발포했다고 해명하면서 민심이 들끓었다.

3월 10일부터 제주도청을 시작으로 민관 총파업이 발생, 경찰 및 사법기관을 제외한 23개 행정기관, 105개의 학교, 우체국, 전기회사 등 4만여명이 봉기에 참여했다.

경찰은 4월 10일까지 500명 가량을 검거했는데 이 중 66명의 경찰이 파면되고 그 자리를 서북청년단 소속 경찰들이 채우면서 도민들과 군정경찰, 서북청년단의 대립은 심화됐다.

결국 남한에서의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5·10 총선을 저지하기 위해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남로당의 김달삼 등 350여 명은 제주도 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제히 급습했다.

무자비한 민간 학살

4·3 사건은 한국전쟁 휴전 후인 1954년 9월 21일까지 계속됐다. 이 기간 동안 나온 사망자만 1만4032명(진압군에 의한 희생자 1만955명, 무장대에 의한 희생 1764명 등)에 이른다.

이승만 정부는 10월 11일, 제주도에 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본토의 군 병력을 제주에 증파시켰다.

1948년 10월 17일, 제9연대장 송요찬 소령은 해안선으로부터 5km 이상 들어간 중산간 지대를 통행하는 자를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을 발표했으며 대대적인 강경 토벌작전이 시작됐다.

11월 17일 계엄령 선포 후 이듬해 2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진압군은 중산간 마을에 불을 지르고 주민들을 집단으로 살상했다. 해안마을 주민들까지도 무장대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했다.

한국전쟁 발발 후에도 보도연맹 가입자, 요시찰자, 입산자 가족 등이 예비 검속이라는 이름으로 붙잡혀 집단으로 학살됐다.

4·3 사건의 결과와 오늘날

이 사건은 1954년 9월 21일 한라산의 금족 지역이 전면 개방됨으로써 7년 7개월 만에야 막을 내렸다.

당시 제주도민 중에는 군정경찰 및 서북청년단등의 반공 우익단체의 가혹한 탄압을 피하기 위해 대한해협을 건너 일본으로 이주한 이들도 속출했다.

4·3 사건을 경험한 유족들의 회고에 따르면, “좌익도 우익도 자기 마음에 안들면 마구잡이로 죽여버리는, 완전히 미쳐버린 세상이었다”고 말한다.

1998년 취임한 김대중 대통령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제주 4·3은 공산폭동이지만,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이 많으니 진실을 밝혀 누명을 벗겨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4·3 사건으로 인한 민간인학살과 제주도민의 처절한 삶을 기억하고 추념하며 화해와 상생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제주4·3평화공원이 세워졌다.

2014년부터 4월 3일은 '4·3희생자 추념일'로 지정, 국가 차원의 기념 행사가 치러지고 있다.

 

*출처: 제주4·3평화재단 홈페이지, 한국어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